
금융위원회는 23일 신한·NH농협·IBK기업은행을 비롯 6개 은행이 오는 30일부터 실명확인 입출금계정서비스를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들 6개 은행은 암호화폐 거래 실명제를 위한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은행권의 사정은 다르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6개 은행 외에도 시중은행들은 암호화폐 실명 거래 시스템을 구축했으나 당분간 신규 계좌 발급은 어렵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의 암호화폐 대응 기조가 언제 바뀔지 모르는 가운데 시중 은행들이 섣불리 행동할 수 없다는 의견이 은행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한 은행 직원은 “지금같은 상황에서 앞장서 암호화폐 거래소 거래를 재개하는 것은 등에 섶을 지고 불에 뛰어드는 격”이라며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이 올 것을 고려할 때, 막대한 수익 등이 보장되지 않는 이상 은행권은 신중하게 행동할 수 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암호화폐 거래소 역시 이같은 상황이 이해된다는 반응이다.
한 암호화폐 거래소 직원은 “은행권과 협상을 지속하고 있지만 당분간 신규 투자자 유입이 어렵다는 데에는 양자가 동의하고 있다”며 “암호화폐에 관한 정부 및 사회의 동향을 판단하는 데 있어 30일이라는 기한은 촉박하다는 은행권의 불평도 들었다”라고 말했다.
박정우 기자 news@seconom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