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돌이 코인story①] 암호화폐는 투기가 아니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8013007465306259204ead07911751983062.jpg&nmt=2)
젊은이들은 경쟁에 내몰렸고, 저축을 해도 돈이 모이지 않고, 아이를 낳아도 맡길 곳이 없는 그런 환경 속에 살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새로운 시장을 빠르게 받아들여 돈을 번 젊은이들을 투기꾼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말한다. 젊은이들의 일자리를 만들고 돈을 벌 수 있게 해야한다고.
암호화폐 시장이 호황을 누리게 된 배경엔 “돈 벌었다.”라는 스토리의 존재 때문이다. 누구나 돈을 벌고 싶어한다. 많은 사람들이 조금씩 거래를 시작하며 실제로 돈을 벌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니 너나 할 것 없이 몰려들어 광풍이 일게 된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암호화폐 거래 시장과 블록체인 시장에서는 기득권이란 것이 없다. 즉 계급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멋진 기술의 환경을 잘 모르면서 투기라는 프레임으로 몰고가는 것은 우리 정부가 스스로의 무지함과 무능함을 만천하에 알리는 것이고, 많은 사람들은 여기에 분노하고 있는 것이다.
금감원 직원이 암호화폐 거래를 한 것이 정말 죄가 되는 것일까? 공무원은 왜 거래를 하면 안될까? 그들도 집을 가지고 싶을 것이고, 좋은 차를 가지고 싶고, 자녀를 더 좋은 환경에서 교육 시키고 싶고, 여행도 하고 싶을 것이다. 공무원도 국민이다.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암호화폐 거래는 대한민국 성인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고 해도 된다. 우리나라의 모든 공무원은 빚이 전혀 없나? 만약 국민들은 빚에 허덕이는데 공무원은 그렇지 않다면 그것이야말로 국가가 이상한 것 아닐까?
암호화폐 거래는 비단 20대와 30대의 젊은이들만 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국내 대형 거래소 중 50대가 12%, 60대가 6%라는 통계가 있다. 50대와 60대도 무려 18%나 참여하고 있다. 그만큼 폭넓게 많은 사람들이 거래를 하고 있다.
수백만의 국민들이 암호화폐 거래를 하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돈 벌었다’라는 스토리와 실제로 돈을 벌게 되었다는 점 때문이다. 암호화폐 거래로 돈을 번 사람들은 차를 사든 집을 사든 여행을 가든 쇼핑을 하든 결국 소비를 하게 된다.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돈을 번 고객들이 마음껏 소비할 수 있게 오히려 소비 환경을 개선하는 데 노력하는 것은 어떨까? 그토록 내수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외치고, 그것을 해결하려고 애쓰는데 오히려 지금이 정말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암호화폐는 전 세계 누구나 쉽게 거래를 할 수가 있다. 우리가 먼저 시장 질서의 틀을 잡고 올바른 정책을 펼쳤다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의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최근 스위스 정부가 암호화폐의 허브가 되겠다며 공식 선언하고 먼저 움직이는 것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이 시장에서 돈을 잃은 사람도 존재하고, 실제로 투기를 하는 세력들도 있다.
돈을 잃는다는 것은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어디든 존재한다. 이 분들이 큰 피해를 입지 않도록 더욱 더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올바르게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기 역시 돈이 몰리는 곳이라면 어디든 생기는 것이며,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존재하며, 이런 투기 세력들은 법으로 응당 처벌을 받아야 할 것이다.
박정우 기자 news@seconom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