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1023001726e371814a7d2221082253.jpg&nmt=2)
공유 경제 시장은 기존 전통경제 영역을 잠식하면서 연평균 36% 성장해 2025년 3,35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465201322e371814a7d2221082253.jpg&nmt=2)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473701583e371814a7d2221082253.jpg&nmt=2)
특히 승차공유(Ride Sharing)시장은 2017년 318억 달러에서 2021년 701억 달러으로 연평균 21% 이상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공유경제 시장은 미국과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을 주도해나가고 있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504401701e371814a7d2221082253.jpg&nmt=2)
2008년 에어비앤비 등장 이후 교통과 금융, 공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돼 현재 글로벌 유니콘 Top 100 가운데 46개가 미국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자국 공유경제 플랫폼 기업들이 글로벌 공유경제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장친화적인 정책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515701288e371814a7d2221082253.jpg&nmt=2)
승차공유 시장의 경우 미국 118억 달러로 향후 2021년까지 미국 내 공유경제 이용자수 8,650만 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2015년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 발언과 실제로 이어진 규제 완화로 단기간에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530002739e371814a7d2221082253.jpg&nmt=2)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535900587e371814a7d2221082253.jpg&nmt=2)
과거 중국의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를 잇는 TMD(터오우티아오:뉴스앱, 틱톡 등/ 메이투안디엔핑: 배달 대행/ 디디추싱:차량공유)라는 새로운 신흥 강자가 부상하는 가운데 공유경제 비즈니스가 핵심이 되고 있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545107919e371814a7d2221082253.jpg&nmt=2)
유럽은 기본적으로 공유경제 활성화를 지지하지만 기존 경제 주체들과의 갈등 관계가 공존하고 있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⑦] 2025년까지 공유경제 연 36% 성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51410553703338e371814a7d2221082253.jpg&nmt=2)
2015년 기준 유럽의 공유경제는 281억 유로 규모로 미국과 중국에 비해 작지만 글로벌 공유경제를 주도하는 지역이다.
분야별로는 P2P숙박이 54%, 금융과 P2P운송이 약 18%를 기록해 EU의 공유경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가 시장 규모와 정책적 지원 측면에서 선도적이고, 독일과 스페인, 네덜란드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관련 기사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①] 새로운 패러다임, 당신은 이미 공유경제 안에 있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②] 빛의 속도로 확산되는 신패러다임, 공유경제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③] 두 얼굴을 가진 공유경제의 경제적 효과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④] '나눔의 경제' 활성화 위한 제도 마련된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⑤] 금융의 공유경제 크라우드펀딩, 혁신자본 역할한다
[권혁 기자의 '신나는 공유세상'⑥] 세상을 연결하는 공유경제 플랫폼 가치는
권혁 기자 news@seconom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