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 치매 진단 의료기기 및 알고리즘의 안전성·유효성 검증 △치매 정밀의학 DB 플랫폼 구축 활용 △상호발전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 교류 △치매 진단 의료기기 기업 육성 △치매 진단 의료기기 기업 인력양성 기술교류 협력 △정부지원사업 등 신규 협력사업 발굴 등에 협력키로 했다.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70만5473명에 달하고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이 2074만원으로 추산된다. 국가 치매 관리 비용은 14조6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0.8%를 차지하고 있다.
치매는 완치가 어렵지만 조기에 증상을 찾아낸다면 환자와 가족의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산업 미래 먹거리 창출과 노후가 걱정없는 행복한 광주를 위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게 됐다.
김성진 광주TP 원장은 "노인 인구의 증가로 바이오헬스산업은 지역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치매에 고통받지 않는 치매 예방 도시 광주를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치매국책연구단 이건호 단장은 "광주테크노파크에 입주해 있는 바이오헬스 관련 기업과 치매국책연구단이 서로 협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유진 공유경제신문 기자 news@seconom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