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신문 김봉수 기자] 얼어붙은 취업시장 속에서 올해 청년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고통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전 연령대 가운데서도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경제고통지수를 재구성해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7.2로, 2015년(22.2) 집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다른 연령층도 올해 상반기 들어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그 중에서도 청년층(27.2)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이어 60대(18.8), 50대(14.0), 30대(13.6), 40대(11.5)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 더 심해진 고용한파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이끌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재취업을 희망하는 자, 경제활동을 하지 않지만 취업의지가 있는 자 등 사실상 실업자를 포함한 청년 체감실업률은 올해 상반기 기준 25.4%로, 30대(11.7%)의 2.2배, 40대(9.8%)의 2.6배에 달했다.
청년 체감실업률 추이를 보면, 2015년 21.9%에서 2019년 22.9%로 4년간 1.0%p 올랐다가 2019년 22.9%에서 2021년 상반기 25.4%로 2년 6개월 만에 2.5%p 급격하게 증가했다. 여기에 물가 상승세도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청년 물가상승률은 2018년 1.6% 이후 0%대를 유지하다가 2021년 상반기 1.8%로 급등했다.
◇ 청년 사업도 어려워
취업난이 지속되면서 창업으로 눈을 돌리는 젊은 층이 많아지고 있지만, 청년 자영업자들의 상황도 녹록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청년(29세 이하) 개인사업자 폐업률은 2020년 기준 20.1%로, 전체 평균(12.3%)의 1.6배에 달했고 5년 전(2015년 19.8%)보다도 0.3%p 올라 전연령대 중 유일하게 악화됐다. 반면, 그 외의 다른 연령대는 같은 기간 전부 폐업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청년(29세 이하) 개인사업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소매업(11.6%), 음식업(6.7%), 서비스업(5.5%), 대리․중개․도급업(5.4%) 순이었다. 이들 업종에서도 가게 문을 닫는 청년 비율이 가장 높은 실정이다.
청년 개인사업자 폐업률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소매업 24.1%, 음식업 19.4%, 서비스업 19.2%, 대리‧중개‧도급업 20.0%로 모두 전연령대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한경연은 “청년들이 진입장벽이 낮은 소매업, 음식업 등의 창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경기불황, 최저임금 부담, 동종업계 경쟁 심화 등으로 살아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근로생애 초기의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로 진입하지 못하고 영세자영업을 시작했다 좌절하게 될 경우, 적절한 노동경험이 축적되지 못해 향후 노동시장에 정착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 2020년 기준 청년층 자산 대비 부채 비율 32.5%, 전 연령대 중 1위
청년들의 재무건전성은 악화일로로 치달았다. 청년층(29세 이하 가구주)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16.8%로, ‘60세 이상’(13.4%) 다음으로 가장 낮았으나 2017년(24.2%)을 기점으로 전연령대를 제치고 지속적으로 상승, 2020년에는 32.5%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청년층의 부채 증가속도가 자산 증가속도보다 월등하게 빠르기 때문이다. 청년층 부채는 2015년 1491만원에서 2020년 3479만원으로 연평균 18.5% 오른 반면, 자산은 8864만원에서 1억720만원으로 연평균 3.9% 증가하는데 그쳤다.
2015~2020년 중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청년층이 전연령대 가운데 유일하게 132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다른 연령대에서는 순자산액이 최소 6048만원에서 최대 1억892만원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끝이 보이지 않는 청년 취업난에 코로나19 사태까지 장기화되면서 청년들의 경제적 고통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면서 “우선적으로 기업규제 혁파, 고용 유연성 확보 등 민간의 고용창출여력을 제고해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봉수 기자 news@seconomy.kr
올해 상반기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 27.2...집계 이후 최고 수준
기사입력:2021-11-15 14:43:24
공유경제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news@seconomy.kr
<저작권자 © 공유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news@seconomy.kr
공유 포커스
사회적기업
공익재단
CSR
이슈
- 통계 작성 이후 처음... "일·가정 균형이 일 보다 더...
- 늙어가는 한국, 10년 뒤 서울 가구수 감소... 65세 이...
- 갈수록 더 심해지는 구직... 구직자 절반 이상 "두려움...
- 한국 청년실업자 10년간 28.3% 증가... OECD 36개국 중...
- [설문] 연령 낮을수록 자살을 '본인의 선택의 문제'라...
- 서울 시내버스회사, 처·자녀 등 친인척 임원으로 앉혀...
- 한국 남성암 4위 전립선암, 40대 이상 남성 10명 중 8...
- 국민 10명 중 7명, "친일이 애국" 문체부 고위공무원 ...
- 살림살이 좀 나아질까요?... '60대이상 남성' 가장 비...
- 치사율 40~60%, 첫 사망자 발생한 '비브리오 패혈증'....